CS31 [Go] Go에서의 표준 입출력(with fmt) 표준 입출력 fmt 패키지 Go의 기본 패키지인 fmt는 표준 입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출력 fmt 패키지가 제공하는 3가지의 표준 출력 함수는 다음과 같다. Print() : 함수 입력값들을 출력 Println() : 함수 입력값들을 출력하고 개행 Printf() : 서식(format)에 맞도록 입력값들 출력 (자동 개행 미지원) Printf(문자열, 인수, 인수) //Printf() 형식서식 문자Printf()와 함께 사용하는 서식 문자는 다음과 같다. 서식 문자 효과 %v 데이터 타입에 맞추어 기본 형태로 출력 %T 데이터 타입을 출력 %t boolean 타입 출력 %d 10진수 정수로 출력(정수 타입만 가능) %b 2진수로 출력 %c 유니코드 문자 출력(정수 타입만 가능) %o 8진수로 출력 %O.. 2022. 9. 21. [Go] Go에서의 변수 변수 선언 var a int = 10 var : 변수 선언 키워드 a : 변수명 int : 타입 10 : 초깃값 Go에서의 변수 선언은 변수 선언 키워드-변수명-타입-초깃값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변수 선언의 다양한 방법 var a int = 3 // 기본 형태 var b int // 초깃값 생략, 이 때, 초깃값은 타입 별 기본값으로 대체된다. var c = 4 // 타입 생략, 이 때, 변수 타입은 우변 값의 타입이 된다. d := 5 // 선언 대입문 := 를 이용하여 var 키워드와 타입 생략 타입을 생략하게 되면 우변의 타입으로 좌변의 타입이 지정된다. 타입별 기본값 정수(int, uint...) : 0 실수(float, complex) : 0.0 boolean : false 문자열 : "" 그 .. 2022. 9. 21. [자료구조] 힙(Heap)이란? 힙(Heap)이란? 힙(Heap)은 데이터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고안된 자료구조로,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의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힙은 힙 속성을 만족하는데, 힙 속성이란, 최대 힙 속성(max heap property) : 부모 노드의 키 값은 항상 자식 노드의 키 값보다 크거나 같다. 최소 힙 속성(min heap property) : 부모 노드의 키 값은 항상 자식 노드의 키 값보다 작거나 같다. 다음과 같으며, 어떤 힙 속성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최대 힙(Max heap)과 최소 힙(Min heap)으로 나뉜다. 힙(Heap)의 특징 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루트 노드(root node)는 항상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진다 (만족하는 힙 속성에 .. 2022. 8. 21. [자료구조] 해시 테이블(Hash Table)이란? Hashing이란? 영어 사전에 hash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뜻이 나온다. 실제로 처음에 해쉬라는 것을 들었을 때, 맨 처음 떠올렸던 것이 햄버거에 들어가있는 그 감자 아닌가? 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자료구조에서의 해싱(Hashing)은, 각각의 데이터를 고유한 숫자 값으로 표현하고(임의의 값을 고정된 길이로 변환), 이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거나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해싱(Hashing)의 과정에는, 해시 함수(Hash Function)와 해시 테이블(Hash Table)이 사용된다. 해시 함수(Hash Function) 해시 함수(Hash Function)란, 주어진 데이터(Key)를 고유한 숫자 값인 해시 값(Hash Value)으로 표현해주는.. 2022. 8. 21. [자료구조] 트리(Tree)와 이진 트리(Binary tree)란? 트리(Tree)란? 트리(Tree)란, 계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자료구조이다. 조직도, 파일 디렉터리 구조에서 이러한 트리 구조가 많이 사용된다. 트리의 구성 요소 트리는 노드(node)와 간선(edge, link)로 이루어진다. 노드(node)는, 트리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이며, 위 사진에서의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이 노드라고 볼 수 있다. 간선(edge, link)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이며, 트리에서의 간선은 부모-자식 계층 관계만을 나타낸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간선이 상하관계로만 연결되어 있고, 좌우로는 연결되어있지 않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노드의 개수가 N개일 때, 간선의 개수는 항상 N-1개이다. 트리.. 2022. 7. 24. 이전 1 2 3 4 5 6 7 다음